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질환2

무릎내측 통증- 거위발건 염 거위발건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봉공근(넙다리빗근), 박근(두덩정강근), 반건양근(반힘줄근)3가지 근육이 붙어있는 지점이 거위발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거위발건이라고 하며, 이거위발건 안쪽에 거위다리주머리라는 점액낭이 있는데 이부분에 염증이 일어난 상태를 거위발건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거위발건염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1. 위3가지 근육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스포츠(무릎의 굴곡을 많이 사용)를 많이 하거나 2. 방향전환을 자주하는 스포츠, 축구, 농구의 피벗동작, 테니스등 3. 기타 직접적인 외상이나 과체중의 중년여성 (내측에 압력증가로 인한) 4. 타이트한 햄스트링등을 들수있다. 증상의 치료방법으로는 첫번째 염증이 심하거나 통증이 심할때는 휴식을 취해주고, 냉찜질을 해주어야합니다. (10분3회/하루에).. 2023. 5. 11.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란? 견갑상완리듬이란 팔을 180도 외전시킬때 견갑대를 구성하는 견갑골, 상완골, 쇄골의 뼈들이 각자의 움직임으로 리드미컬하게 움직여 팔을 외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팔을 들어 올릴때 적절하게 근육과 뼈들이 움직여서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은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흉쇄관절, 견쇄관절, 견흉관절, 관절와상완관절) 4개의 관절이 있다. 이 관절들이 손을 위로 외전시킬때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흉쇄관절(SC joint) 쇄골은 흉골과의 연결을 통해 역학적 지주 또는 버팀목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어 체간으로부터 비교적 일정거리에 있는 견갑골을 지탱해 줄 수 있다. 움직임:쇄골은 30도정도 올라가고, 35도정도 외회전(뒤로회전)한다./ 손을 쇄골에 촉진..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