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학적 검사

어깨의 이학적 검사(Special test)

by 감썽 2023. 8. 9.

어깨관절의 구조는  윗팔뼈의 상완골두부분이  어깨뼈의 관절와 부분에 놓여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상완골두와 관절와의 크기가 골프공을 티에 올려놓은 것 처럼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그만큼 어깨의 가동성은 좋지만 불안정하고 부상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고, 어깨의 이학적 검사를 통한 부상부위를 유추해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rop arm

1. drop arm 검사

목적:회전근개의 파열을 확인하기위해(극상근 손상)

방법

1)확인하려는 팔을 지면과 수평하게(90)외전시킨다

2)팔을 천천내 내려본다

양성:천천히내리지 못하거나 내리려고 할 때 어깨부분에 심한통증을 느낀다

음성:편한하게 천천히 내려올 수 있다.

 

 

Hawkins-Kennedy

2.Hawkins-Kennedy 충돌검사

목적:어깨의 충돌증후근을 검사하는 방법이며 특히, 견봉하공간에서의 극상근의 찝힘을 확인할 수 있다.

방법

1)확인하려는 팔의 팔꿈치를 구브리고(굴곡), 어깨를 90도 굴곡시킨     다.

2)자세를 잘 유지할 수 있게 손으로 보조를 해주면서, 팔꿈치와 손목부분을 잡아서 내회전 시켜준다.

양성:어깨부위의 불편감이나 통증이 있다면 양성

음성:불편하지 않다.

 

Neer 충돌검사

 

3.Neer 충돌검사

목적:어깨의 충돌증후근을 검사하는 방법이며 특히, 견봉하공간에서의 조직의 상태의 확인(이두근 장두, 윤활낭, 극상근등)

방법

1)확인하려는 쪽의 팔을 앞쪽으로 펴서 90도들어 올리고, 엄지손가락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내회전 시켜줍니다.

2)수동검사이기 때문에 검사자가 환자의 손을 잡고 위쪽으로 천천히 들어올려주며, 환자는 어깨에 힘을 최대한 빼줍니다.

양성:움직이는 동안 통증이 있음(특정각도에서 통증이 있다면 이는 어깨 전방의 충돌증후근의 가능성이 높다

음성:불편하지 않다

 

 

 

 

O’Brien 능동압박검사

4. O’Brien 능동압박검사

목적: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병변을 확인할 때,

극상근손상

방법

1) 어깨를 90도 굴곡, 수평내전시킨후 엄지손가락이 아래를

   가르킬 수 있도록 내회전 시켜줍니다.

-검사자는 환자의 손목부분을 잡고 아래로 내리고, 환자는 저항 합니다.

2) 어깨를 90도 굴곡, 수평내전시킨후 엄지손가락이 위를 가르킬 수 있도록

    외회전 시켜줍니다.

-검사자는 환자의 손목부분을 잡고 아래로 내리고, 환자는 저항합니다.

 

양성: 안쪽돌림시(1) 통증이 있지만, 가쪽돌림시(2) 통증이 없는 경우/   
         모두 통증이 있는 경우(회전근개 손상)

음성: 아무런 증상이 없음.

 

 

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병변

-전후방 상부관절와순 병변-

아래의 사진처럼 상완이두근 장두의 건은 어깨뼈의 관절와순에 붙어있습니다. (일부분은 뼈에)

SLAP은 관절와순의 위쪽부분(11~1시방향)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요 부상기전으로는 아래의 3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1) 상완이두근을 잡아당기는 견인손상

2) 관절와순을 수직으로 직접압박하는 힘에의한 손상(팔을 편상태에서 땅을 집고 넘어짐)

3) 반복적인 오버핸드동작(투수)/머리위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한 손상(만성적인 손상)

증상으로는 어깨통증이 있고, 어깨를 올리거나 외회전할 때 통증이 심하고, 어깨안쪽에 불편한 느낌이 든다.

 

손상정도에 따른 분류

Type 1:상부 관절와순의 퇴행성 마모 되어 손상 및 변성이 발생 하지만 상완 이두 장두건의 부착과 고정은 정상입니다.

Type 2 : 상완 이두 장두건과 관절와순부착으로부터의 분리 및 파열로 인하여 안정성이 감소 되었을 경우입니다.

Type 3 : 상부 관절와순이 파열되어 양동이 손잡이 모양으로 와순이 뜯어짐

Type 4 : 3형과 유사하나, 파열이 이두근건으로 확장, 파열된 이두근건과 관절순은 관절내로 전위

 
 

 

 

empty can 테스트

5. empty can 테스트

목적:극상근(가시위근)의 힘줄이나 근육파열, 약화 검사

방법

1)환자는 어깨를 90도 굴곡하고, 견갑골 라인에 맞춰(스캡션각도) 수평외전을 하고, 빈캔을 비우는것처럼 손을 내회 전시킨다.

2)검사자는 손목부분을 잡고 아래쪽으로 저항하고, 환자는 같이 저항한다.

양성:통증이나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면 양성반응입니다.

음성:버틸 수 있고, 아프지 않으면 음성

 

 

 

6. lift-off 징후검사

목적:견갑거근(subscapularis) 약화 검사

방법

1)환자는 열중 쉬어 자세를 취한다(손등이 등에 붙어 있게)

2)손 등을 허리로부터 멀어지게 뒤쪽으로 보낸다/ 검사자는 약간의 저항을 줘도 괜찮다

양성: 손 등을 들어올리지 못하거나 유지하지 못하면 양성.

음성: 손등을 들어올릴 수 있다.

 
hornblower’s test(sitting)/혼블로어 테스트, patte test

7.hornblower’s test(sitting)/혼블로어 테스트, patte test

목적:극하근과 소원근의 약화검사(외회전근육들)

방법

1)어깨벌리고 90, 팔꿈치 90도에서 환자는 외회전을 능동적으로 실시한다.(

2)검사자는 환자(피검자)가 외회전하지 못하도록 저항을 준다

양성: 환자가 팔을 외회전하지 못하거나, 검사자의 힘에 저항이 되지않아 통증이 발생

음성: 외회전을 할 수 있고, 검사자의 힘을 충분히 저항할 수 있고, 통증이 없다.

 

spring back 검사

 

 

8. spring back 검사

목적:극하근과 소원근의 약화검사(외회전근육들)

방법

1)어깨벌리고 90, 팔꿈치 90도에서 환자는 외회전을 능동적으로 실시한다.

2) 혼블로어 테스트는 저항을 주지만, 이테스트는 환자가 스스로 외회전을

   유지하려고만 한다.

양성: 환자가 팔을 외회전해서 유지를 못할때

음성: 외회전을 할 수 있다.

 
 

 

 

9.speed 검사

speed 검사

목적:상완이두근의 장두건의 염증 및 SLAP확인

방법

1) 팔을 쭉 편상태에서 손바닥이 위쪽방향으로 보이게 뒤침한다.

2) 환자는 그 상태에서 어깨를 굴곡시커 위쪽으로 올리고, 검사자는

손목부위를 잡고 저항한다.

양성: 어깨쪽에 통증이 있다.(상완골의 고랑사이부분)

음성: 통증이 없다.

 

 

 

 

Yergason 검사

10.Yergason 검사

목적:상완이두근의 장두건의 염증 및 위팔가로인대의 능력검사

방법

1) 환자(피검자)는 팔꿈치 90도 손목은 손등이 위로보이게 엎침(pronation)시킨다.

2) 검사자는 한쪽손은 어깨 이두장두건의 구 부분에 손을 촉진하고, 다른손은 환자의 손등부위를 잡습니다.

3) 환자(피검자)는 손목은 뒤침을 하면서 어깨부분은 외회전하도록 하고, 검사자는 이에 저항합니다.

양성: 어깨쪽에 통증이 있다.(상완골 이두근 건의 고랑사이부분)

음성: 통증이 없다.

 
 

'이학적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트릭 테스트(patrick test)  (1) 2023.08.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