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긴종아리근(장비골근/ fibularis longus) 오늘은 긴종아리근(장비골근/ fibularis longu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장비골근은 종아리 바깥쪽에서 시작해 발바닥을 가로질러 안쪽까지 붙는 근육으로, 발목의 안정성, 보행 시 균형 유지, 발바닥 횡아치 지지라는 3가지 핵심 역할을 합니다.특히, 발목 염좌(인버전 스프레인)를 방지하는 1차 방어선으로서, 외측 인대가 버티지 못하는 순간에도 장비골근이 외번 작용을 통해 발목을 잡아줍니다. 이 근육이 약해지면 발목은 쉽게 안쪽으로 꺾이고, 반복적인 염좌나 만성 불안정성이 발생합니다.장비골근은 단순히 발목 근육이 아니라, 체중이동과 하지 정렬, 보행의 효율성까지 좌우하는 필수 구조입니다.평발의 경우 횡아치 지지 기능이 무너지며, 결과적으로 무릎, 고관절, 심지어 허리 통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발목.. 2025. 5. 14.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특수체육론 문제모음(2015~2025) 2015년도특수체육에 대한 설명비장애인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 중 옳은 것은?특수체육에서 시행하는 측정평가의 목적개별화 교육계획에 대한 설명(IEP)행동수정기법의 부적강화(타임아웃)장애유형별 활동변형(청각장애)운동발달의 원리(머리 →발방향, 근위→원위, 발달단계의 동일성, 대근육→소근육)지적장애 체육활동시 교육적 고려사항 아닌것시각장애인지도시 관련사항(방향정위)PAPS-D 장애인 건강체력 검사도구장애인복지복 시행규직에 따른 지적장애 등급분류 기준(지능지수, 사회성지수)정서장애인이라고 볼 수 없은 것인? 시각장애인의 B1, B2, B3 의 기능적 분류시각장애인의 운동특성청각장애인에 대한 설명뇌손상 및 뇌졸중 장애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체육활동청각장애 체육활동 지도 시 특수체육지도자의 고려사항대발작 경력에.. 2025. 4. 22.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오늘은 우리가 걷고, 달리고, 계단을 오를 때 발을 들어올리는 데 꼭 필요한 근육인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다리 앞쪽에 위치한 앞정강근은 발등을 굽히고, 발을 안쪽으로 돌리은 움직임에 관여하며, 일상적인 보행부터 스포츠 활동까지 하체의 움직임의 안정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앞정강근은 우리가 걷고 뛸 때 발을 들어 올리는 '첫 움직움'을 담당하는 핵심근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 근육에 문제가 생기면 발을 제대로 들어 올리지 못하게 되어, 보행에 큰 영향을 미치고발처짐( Food drop)이나 스텝페이지 보행(Steppage gait) 또는 휘돌림 보행(Circumduction gait)같은 보행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기시점정강뼈의.. 2025. 4. 10.
오금근(슬와근/ Popliteus) 오늘은 무릎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금근(슬와근/ Popliteu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오금근은 무릎 뒤쪽에 위치하는 작은 근육으로, 무릎을 구부리거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주된 기능으로는 무릎의 언락킹으로, 대퇴골과 경골이 잠긴 상태에서 경골을 외회전시켜 무릎을 풀어줍니다. 또한 무릎의안정성 유지와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무릎을 완전히 펴는 동작을 할 때 무릎 뼈들이 조금 비틀리면서 돌아갑니다. 마치 문을 잠그듯이 회전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무릎을 펴고 서 있을때 안정감 있게 있을수 있습니다.오금근은 이러한 무릎을 펴는 동작에서 구부리려고 할때, 처음에 잠긴부분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 202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