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질환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란?

by 감썽 2023. 3. 29.

견갑상완리듬이란 팔을 180도 외전시킬때 견갑대를 구성하는 견갑골, 상완골, 쇄골의 뼈들이 각자의 움직임으로 리드미컬하게 움직여 팔을 외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팔을 들어 올릴때 적절하게 근육과 뼈들이 움직여서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은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흉쇄관절, 견쇄관절, 견흉관절, 관절와상완관절) 4개의 관절이 있다.

 

이 관절들이 손을 위로 외전시킬때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흉쇄관절(SC joint)

쇄골은 흉골과의 연결을 통해 역학적 지주 또는 버팀목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어 체간으로부터 비교적 일정거리에 있는 견갑골을 지탱해 줄 수 있다.

움직임:쇄골은 30도정도 올라가고, 35도정도 외회전(뒤로회전)한다./ 손을 쇄골에 촉진하고 손을 외전시키면 움직임을 느낄수 있다. 

 

견쇄관절(AC joint)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쇄골바깥족 끝부분과 견갑골의 견봉이 만나서 이루는 관절

쇄골의 외측단에 위치한 관절로 이 관절과 여기에 관계된 인대들은 견갑골을 쇄골에 견고히 부착

움직임: 30도상방회전(견갑골의 견봉)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 어깨가슴관절, st 관절)

흉곽과 어깨뼈가 만나는 관절이다.

움직임: 60도 상방회전(상부승모근, 하부승모근, 전거근)

 

 

관절와상완관절(관절와 상완관절,GH joint)

상완골의 골두와 어깨뼈의 오목관절이 만나는 지점이다.

움직임: 120도/ 상완골이 외회전 45도 

 

특히, 움직임이 잘보이는 흉쇄관절과, 관절와상완관절의

1:2의 비율로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보통 우리는 견갑상완리듬이라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이 어떤 문제로 인하여 제한이 된다면, 어깨의 통증을 올 수 있게합니다.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

 

 

 



 

'근골격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내측 통증- 거위발건 염  (0) 2023.05.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