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체육론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특수체육론 문제모음(2015~2025)

by 감썽 2025. 4. 22.

2015년도

특수체육에 대한 설명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 중 옳은 것은?

특수체육에서 시행하는 측정평가의 목적

개별화 교육계획에 대한 설명(IEP)

행동수정기법의 부적강화(타임아웃)

장애유형별 활동변형(청각장애)

운동발달의 원리(머리 발방향, 근위원위, 발달단계의 동일성, 대근육소근육)

지적장애 체육활동시 교육적 고려사항 아닌것

시각장애인지도시 관련사항(방향정위)

PAPS-D 장애인 건강체력 검사도구

장애인복지복 시행규직에 따른 지적장애 등급분류 기준(지능지수, 사회성지수)

정서장애인이라고 볼 수 없은 것인?

시각장애인의 B1, B2, B3 의 기능적 분류

시각장애인의 운동특성

청각장애인에 대한 설명

뇌손상 및 뇌졸중 장애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체육활동

청각장애 체육활동 지도 시 특수체육지도자의 고려사항

대발작 경력에 대한 응급조치사항

지체장애에 대한 설명

특수체육지도시 고려할 사항(개인 및 장애특성이해, 보조보다는 활동과제에 집중, 언어보조, 시각보조, 신체보조의 적절한 연계)

 

2016년도

장애인 스포츠지도사를 규학하고있는 법률(국민체육진흥법)

장애모델의 설명(사회적/교육적 모델)

블룸(B.Bloom)의 특수체육의 정의적 영역의 목표

사정에 관한 설명

과제분석에 대한 설명 개요

장애인 대상 검사도구(TGMD-이동기술 갤럽핑)

쉐릴이 제시한 적응이론

운동발달 단계의 순서(반사운동단계, 기초운동단계, 기본운동단계, 전문화된 운동단계)

장애인 신체활동 지도 시 부상예방 방법

행동수정기법의 정적강화(프리맥 원리)

원시반사의 설명

통합(inclusion)에 과한 설명

지적 장애인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스포츠지도방법

시각장애인의 스포츠활동 방법에 대한 설명(레슬링, 볼링, 2인용 자전거, 양궁)

청각장애인의 스포츠활동 지도법에 대한 설명

국제 뇌성마비 스포츠 레크리에에션 협회(CP-ISRA)주관하는 보치아경기 장애인스포츠등급을 몇개구분?

척수장애인의 체육활동시 고려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폐성 장애인이 특정 행동이나 동작을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행동은?(상동행동)

신경운동학적 분류에 따른 뇌성마비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것(경련성, 무정위운동성, 운동실조성)

장애와 관련된 표찰에 대한 설명

 

2017년도

장애조건에 따라 장애인을 분류하는 지도접근방법

최소제한환경(LRE)

특수체육의 측정평가(표준화, 규준지향, 준거지향)

임파워먼트의 속성으로 장애인 스스로 스포츠활동

브락포트 체력검사(BPFT)설명

발달장애인(촉각적 추구성향)

행동관리 기법(용암법)

특수체육검사의 측정영역(paps-d, MDC, TGMD,PDMS)

생태학적 과제분석 모형 4단계(과제분석의 절차)

장애인복지법의 청각장애 판정기준

지적장애인의 스포츠 지도전략

자폐성 장애인의 스포츠 지도전략

시각장애인(백내장) 농구지도전략

발목절단장애인 스포츠지도전략

척수장애인의 산소소비량이 적은이유

지체장애인의 스포츠지도전략

지체장애인의 휠체어 농구지도전략

무정위형 뇌성마비

정서장애인? 의 스포츠 지도전략

다운증후근 스포츠지도전략

 

2018년도

지적장애인의 스포츠지도방법

증거기반 교수방법에 대한 설명

장애인신체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변형전략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발달장애로 분류한 장애유형(저적장애, 자폐성장애)

청각장애의 유형(전음성 청각장애)

시작장애인의 심동적 특징

발작에 대한 대응방법

지체장애 스포츠지도에 대한 대처 방법

자폐성장애에 대한 스포츠지도전략

행동관리기법(과잉교정)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

특수체육의 하위영역에대한 설명(재활운동 및 체육)

지도방식에 따른 지도방법(스테이션 교수법)

TGMD-2 에대한 설명

다운증후군의 신체적특징

과제지도방식(발달적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

장애인의 체육육성에 대한 일반적원칙

과제분석방법(유사활동중심과제분석)

지체장애의 유형별 특징

장애인 스포츠 참여를 위한 촉진방법

2019년도

뇌성마비적합한운동

스페셜올림픽설명

시각장애인 적합한운동

척수장애인 심폐지구력장비(휠체어이용)

하지절단 장애인 균형유지방법

장애유형별 스포츠지도전략

뇌병변장애인 설명

시각장애인 스포츠지도전략

개별화교육계획(IEP)작성방법

스포츠수어

장애인건강체력평가(PAPS-D)

특수체육사정평가(과제분석)

특수체육의 영역별 목표

시각장애인 지도방법

지적장애인의 스포츠지도방법

장애인차별금지법

국민체육진흥법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위닉의 5단계 스포츠통합연속체계

운동수행의 주요요인 (순발력)

우리나라특수체육의 주요활동내역

 

2020년도

특수체육의 개념

휠체어농구 기술수행의 타당성 관련내용

특수체육의 과제분석

특수체육의 평가(생태학적평가)

장애유형별 활동 변형

시각장애인을 위한 신체지도방법

수업방식의 지도방식(또래교수방식)

ICF(국제기능장애분류) 관련

미국지적장애및 발달장애협회(AAIDD)분류기준

자폐성 장애인의 문제점과 해결전략

뇌성마비의 분류기준과 예시

지체장애인의 발현유형

절단장애인의 신체활동시 고려사항

뇌성마비 장애인 프로그램 고려사항

행동관리의 절차

장애유형별 지도시 고려사항

지적장애인을위한 신체지도사항

시각장애와 관련된 설명

청각장애인 신체활동지도시 유의사항

척수장애인 지도시 고려사항

 

2021년도

특수체육의 설명

ICF(국제기능장애분류) 관련

지적장애인을 위한 체육활동의 변형

특수체육용어의 변천사

생태학적 과제분석의 3대구성요소

장애유형의 종류(뇌성,근이영양증, 다발성경화증)

양호도에 대한 설명(준거타당도, 내용,구인)타당도

장애인 평가도구에 대한 설명

과제분석(근거기반 과제분석)

장애인 임파워먼트

장애인의 특별한 환경(활동변형)

척수손상 장애인설명

시각장애인지도시 고려사항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지원강도(간헐적, 제한적, 전반적)

행동관리 (행동수정기법 / 과잉교정)

자폐성 장애인의 지도방법

시각장애인의 신체활동 시 사전 정보

청각장애인의 지도사항

발작, 경련에대한 지도자의 대처방법

뇌성마비의 유형별 특징

 

2022년도

지적장애인의 응급처지 잘못된사항(RICE)

절단장애인의 환상통증에 대한설명

척수장애인의 운동지도 지침

장애유형에 대한 설명(아스퍼거증후군)

장애인스포츠 프로그램 서비스 전달 단계

장애인 용기구의 설명(아웃리거)

잔스마와 프랜치가 제시한 장애인스포츠의 4L

위닉스의 장애인스포츠 통합 연속체

시각장애인의 운동 참여 전 건강 검진

미국장애인교육법(IDEA)의 통합교육 관련된 용어

모스톤과 애쉬워스의 교수스타일

스포츠수어

국제 뇌성마비 스포츠 레크레이션(CPISRA)의 등급분류체계

미국 지적 및 발달장애협회(AAIDD)지적장애 정의

데이비스 버튼의 생태학적 과제분석 실행과정순서

부적강화, 정적강화,정적처벌,부적처벌

척수장애인의 장애정도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목표진술 3요소

국민체육진흥법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연수과정

중도 지적장애인을 위한 지도전략

 

2023년도

국제 기능 장애 건강분류(ICF) 장애에 대한 개념적 특징

체육의 정의( 미국 관보에서 정의한내용)

블름(B.Bloom) 이 분류한 교육목표 영역(인지적,정의적,심동적)

개별화전환계획(ITP)

장애학생건강체력평가(PAPS-D)

피바디 운동 발달검사-2(PDMS-2) 평가영역

갤러휴(D.gallahue)와 오즈먼(j.Ozmun)이 제시한 운동 발달의 단계

쉐릴(C.shemill)특수체육서비스 전달체계

개별화교육계획(IEP) 의 기능

블룸(B.Bloom)의 교육 목표 영역

자폐성장애유형 설명

지각운동영역에 대한 설명(방향정위)

청각장애의유형(혼합성,감소성,전음성,감각신경성)

피아제(J.Piaget) 인지발달단계에 따른 지도목표(감각운동기,전 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조작기)

장애유형설명(자폐)

시각장애 발생원인(백내장,녹내장,황내장,황반변성)

수어(반갑습니다. 농구, 고맙습니다.)

FITT구분에 따른 운동계획(빈도, 강도, 시간, 시도)

척수손상(흉추 1~13)따른 운동가능요건

보치아 경기규칙에 대한 설명

 

2024년도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설명(최초로 설립된 장애인체육행정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역할

사정, 평가, 검사, 측정에 대한 설명

TGMD-3에 대한 설명

미국장애인교육법(IDEA) 에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의 구성요소

뇌병변장애의 특성(원시반사의 종류/ )

특수체육프로그램의 운영형태(스테이션,대그룹,협력학습,또래교수)

Ulrich의 대근운동발달 단계

조작성 운동양식에 대한 설명(뻗기,던지기,받기,차기, 치기)

척수손상관련 문제 T6

행동관리방법(소거,반응대가,정적벌,부적벌,용암)

미국지적장애및발달장애협회(AAIDD,2021) 지적장애의 정의

지적장애의 종류(다운증후군)

스페셜올림픽의 종목(보체)

뇌성마비의 운동 기능적 분류

장애유형에 따른 지도전략(자폐성장애)

척수장애인 관련

시각장애인의 체육지도전략

지체장애(근이영양증)

수어

2025

특수체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것은?

보기에 해당하는 장애유형의 체육육지도방법 옳지않은것?(지적장애)

특수체육 수업장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역주류화수업)

정서 행동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체육활동 지도전략으로 적절하지 않는것

보기에서 설명하는 시각장애인 스포츠 종목은( 쇼다운)

지체장애인에게 운동을 지도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것은?

휠체어 스포츠의 경기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에서 설명하는 체력운동의 원리는?(다양성의 원리)

특수체육 평가 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림의 순서대로 공 던지기를 지도한 과정에 적용한 행동 관리기법은?(용암법)

표의 지침과 준거를 사용하는 검사 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과제분석)

뇌성마비 에 관한설명으로 옳은 것?

특수체육프로그램 서비스 전달 체계

갤로핑 설명

청각장애니에게 지도할때 고려사항

지적장애인의 체육활동 변형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목표진술 3요소(행동, 기준, 조건)

그림의 로고를 보고 옳지 않은것(패럴림픽로고 설명)

장애인을 위한 체육활동 변형 방법

저시력을 가진 시각장애인에게 체육활동을 지도할때 고려사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