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체육론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국제 기능 장애 분류 의 개념

by 감썽 2025. 4. 3.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2001년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정- 국가 간 일반화된 장애 개념을 정의

국가간의 장애분류 기준을 통일성 있게 갖추고, 질병 및 장애 분류기준이 단순히 의료적 진단에만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인의 기능적 상황을 고려하여 보완하려고 만든 개념입니다.

장애를 단순히 병이나 다친 부분으로만 보지 않고, 그 사람의 기능이나 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주위 환경이 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고려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장애를 병이나 부상으로만 봤다면, ICF모델은 그 사람이 어떻게 생활하는지,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그 사람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줄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 ICF는 장애를 더 넓은 시각에서 보고, 그 사람을 더 잘 이해하고 도와주자는 개념입니다.

ICF모델

 

더 자세히 설명하면 예를들어 위의 도식에서 비교해서 설명하면,

건강상태, 질병이나 부상등 장애문제를 이야기하고, 눈이 안보인다고 할 때 건강상태를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체기능과 구조, 눈이  안 보이면 시각 기능에 영향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눈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활동부분은, 일상생활에서 하는 일들이라고 보면되고, 걷기나 운동하기등이 활동에 포함되며 활동은 그 사람의 기능이 얼마나 잘 발휘되는지와 관련이 있고, 이는 눈이 안보이는 사람은 걷기같은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참여는 사회나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일들을 의미합니다. 직장에 간다거나, 같이 운동을 하는 것처럼 장애가 있더라도 사회에서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환경적요인은 좋은 환경이 있다면 장애가 있는 사람도 더 잘 활동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개인적요인은 남자와 여자아이가 장애를 겪을 때 성별에 따라 어려움이나 도움의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