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일해부학20

1일 해부학- 중둔근(중간볼기근, Gluteus mediu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중둔근(중간볼기근,Gluteus medius)은 장골능에 기시하여, 대퇴골 대전자에 정지한다. 전체적인 기능은 고관절을 (대퇴골)을 외전하는 역할은 한다.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전방섬유 부분은 대퇴골의 내회전에 관여, 후방섬유는 반대로 외회전에 관여한다. 이런 중둔근이 약화되면 골반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보통 한발로 서있을때 활성화 되며 보행시에도 중요한 역할은 한다. 보통 오리걸음처럼 뒤뚱뒤뚱 걷는 사람들이 이 근육이 약해졌다고 볼 수 있다. 약해진 중둔근 쪽의 골반이 거상되면서 같은쪽의 내전근과 요방형근은 짧아져서 전체적으로 다른 근육에서 보상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기시점 장골:둔근 표면(전둔근선과 후둔근선 사이) 정지점 대퇴골: 대전자(외측면) 기능 고관절에서 대퇴를 외전하고 내측으로 .. 2023. 3. 29.
1일 해부학- 상완삼두근(윗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상완 삼두근은 주관절(팔꿈치)을 펴는 작용을 하는 근육입니다. 크게 3개의 머리로 나뉘는데, 장두, 외측두, 내측두 부분이 있습니다. 보통 삼두근육을 보면 말발굽모양으로 보이는데 안쪽에 있는 부분이 장두이고, 바깥쪽에 있는 부분이 외측두이며, 내측두같은 경우에는 심층에 있어 보이지 않는다. 아래 첫 번째 그림은 내측두이며 상완골에 전체적으로 붙어 있고, 척골의 주두 부분에 연결되어 팔꿈치가 펴지면 수축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외측두 또한 상완골에 붙어있으면서 척골에 연결되어있다. 삼두근육에서 장두부분만 유일하게 주관절과 견관절 2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있다. 보통 운동을 하게 되면 어깨의 각도에 따라서 삼두근육의 자극이 달라지는 부분은 장두가 어깨뼈에 붙어 있어서 입니다. 특히 팔근육중에서는 가.. 2023. 3. 13.
1일 해부학-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장요근은 요추측면부에 부착되어 대퇴골 소전자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인 움직임은 대퇴골을 굴곡시키는 움직임을 합니다. 대퇴골 안쪽 소전자 밑부분에 부착되어 대퇴골을 바깥쪽으로 외회전하는 작용을 하므로 팔자걸음은 하는 경우 이근육이 짧아졌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근육이 짧아지느는 원인으로는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경우, 윗몸일으키같은 골반을 굴곡시키는 동작을 많이 하는 경우, 더욱 더 짧아지므로 평소에 스트레칭을 많이 해주어야 하며 특히 골반의 전방경사 및 척추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전방전위증이 생길수 있으니 자주 스트레칭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시점 장골근: 장골와(상부2/3) 대요근: L1~L5의 늑골돌기, T12~L5몸체부(외측면) 및 추간판 소요근:T12~L1몸체부(외측면) 및 추간판 정.. 2023. 3. 13.
해부학적 자세 (Anatomical position) 해부학적 자세란 아래 그림처럼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손바닥이 앞쪽을 바라보게 한 자세를 해부학적 자세라고한다. 해부학에서 기준이 되는 자세이며, 국제적으로 통일된 자세이다. 특이한 점은 손바닥이 앞쪽을 보는 자세로 평상시 자세와는 조금 다를 수 있는데 이는 , 요골과 척골이 교차하게 되지않게 하기위해 손바닥을 앞쪽으로 보게 하고 기준을 정한 것이다. 이 자세를 기준으로 인체의 위치를 설명하기때문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관상면 시상면 수평면 첫번째 그림은 관상면을 설명한 그림으로 해부학적 자세에서 몸을 앞뒤로 나누는 면을 '관상면'이라고 한다. 관상면에서의 움직임은 외전, 내전 동작을 들 수 있다. 두번째그림은 시상면을 설명한 그림이고, 해부학적 자세에서 몸을 좌, 우로 나누는 면을 말한다. 시상면에.. 2023.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