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일해부학19

1일 해부학-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오늘은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이며 근육이 짧아져서 문제를 많이 일으키는 근육입니다. 늑골3~5번에 기시하여 어깨뼈의 오훼돌기에 정지하는 근육입니다. 기시점: 늑골3~5번 정지점: 견갑골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기능: 견갑골의 전인, 내림, 하방회전, 호흡근 보조역할 신경지배: 내측 흉근신경(C8~T1) 소흉근은 늑골의 3번, 4번, 5번에 기시하여 어깨뼈의 오훼돌기에 붙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근육이 수축을 하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옆에서 봤을때 기시점이 앞쪽에 있고, 정지점이 뒤에 있어 수축을 하게되면 겹갑골을 앞쪽으로 전인됩니다. 또한 , 높낮이 또한 기시점이 아래부분에 있고, 정지.. 2023. 2. 10.
근육의 이는 점(기시점) & 닿는 점(정지점)/Origin & Insertion이 중요한 이유와 명칭의 유형 인체의 골격근은 뼈에 붙어있어 몸을 움직이는데 관여한다. 골격근이 시작되는 곳을 이는 점(origin/기시점)이라 하고 끝나는 점을 닿은 점(insertion/정지점)이라고 하는데, 이 시작점과 정지점이 중요한 이유와 어떻게 명칭을 붙이는지 예를 들어서 알아보자. ​ 1. 이는 점(origin/ 기시점) 골격근이 부착되어 시작되는 부분을 말하며, 보통 몸 가까이에 위치한 부분을 지칭한다. 상대적으로 근육이 몸통에 가깝게 있고, 안정적이면 기시점이 되고, 수축이 일어났을 때 고정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상완근의 기시점이 몸통 쪽에 더 가까운 부분이 된다.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의 시작점과 정지점 2. 닿는 점(insertion/ 정지점) 골격은 이 부착되어 끝나는 지점을 말하며, 몸통보다 먼 .. 2023. 1. 29.
1일 해부학-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이는점(기시점/ origin)과 닿는점(정지점/ insertion)을 알아보고,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이 작용하여 골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와 지배하는 신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시점: 견갑하와 정지점: 상완골의 소결절 기능: 팔의 내회전, 내전, 상완골두 고정보조(상완골의 전방 전위 예방) 신경지배: 상부견갑하신경 및 하부견갑하신경(C5-C7) 위 그림에서 보듯이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이는점(기시점/ origin)은 견갑골 내부 안쪽의 움푹 들어간곳에 세로로 분포되어 삼각형모양을 그리면서 상완골두 부분의 움푹 들어간 곳의 소결절 부분에 닿아(정지점/ insertion)있다. 이 근육이 수축하여 움직임을 .. 2023.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