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이며 근육이 짧아져서 문제를 많이 일으키는 근육입니다. 늑골3~5번에 기시하여 어깨뼈의 오훼돌기에 정지하는 근육입니다.
기시점: 늑골3~5번
정지점: 견갑골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기능: 견갑골의 전인, 내림, 하방회전, 호흡근 보조역할
신경지배: 내측 흉근신경(C8~T1)
소흉근은 늑골의 3번, 4번, 5번에 기시하여 어깨뼈의 오훼돌기에 붙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근육이 수축을 하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옆에서 봤을때 기시점이 앞쪽에 있고, 정지점이 뒤에 있어 수축을 하게되면 겹갑골을 앞쪽으로 전인됩니다.
또한 , 높낮이 또한 기시점이 아래부분에 있고, 정지점을 위쪽에 있어 견갑골을 내리는 역할은 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견갑골의 오훼돌기부분은 견갑골의 무게중심에서 왼쪽 윗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오훼돌기를 아래쪽으로 당긴다고 (힘을 가했을때 / 소흉근 수축방향)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 작용을 뒤쪽에서 보게되면 소흉근이 수축했을때는 견갑골은 아래의 그림처럼 하방회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소흉근의 단축은 보통 우리 생활습관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데 스마트폰을 보거나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이용한 사무업무, 오랜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자세로 오래 생활하다 보면 소흉근이 단축되고 소흉근 아래로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하여 손저림 증상이 발생 할 수 도 있으며, 아래의 그림처럼 어깨뼈가 앞으로 전방경사 되어 어깨뼈 하각 부분이 들리게 되고, 상완골과 어깨뼈 견봉사이의 공간인 견봉 하 공간으로 지나가는 극상근의 건이 압박으로 인해 손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일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해부학-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2) | 2023.03.13 |
---|---|
해부학적 자세 (Anatomical position) (0) | 2023.02.27 |
1일 해부학-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2.13 |
근육의 이는 점(기시점) & 닿는 점(정지점)/Origin & Insertion이 중요한 이유와 명칭의 유형 (0) | 2023.01.29 |
1일 해부학-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