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거근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늑골의 1번부터 9번에 걸쳐 시작되어 어깨뼈 내측연에 정지됩니다.
주된기능으로는 견갑골을 상방회전 시키고, 견갑골을 앞쪽으로 당기는 전인 역할을 합니다.
아래에 붙어있는 전거근 섬유가 강하여 수축되면서 견갑골 하각부분이 당겨지게 되고 상방회전 되는 것 입니다.
또한 견갑골이 흉벽에 전체적으로 붙어있게 해주는 근육이며, 호흡을 할때도 흡기시에 흉곽이 잘 커지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장흉신경의 지배를 받는데 장흉신경이 손상되면 전거근의 기능이 제대로 되질 않아 익상견갑(Wing Scapula이 될수 있다. 특히 벽을 밀거나 푸쉬업을 할때 더 많이 튀어나온다면 전거근이 약화됐다고 볼 수 있고, 손을 들어 회전시킬때 많이 나온다면 능형근이 약화된것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기시점: 1~9늑골
정지점: 견갑골 내측연(상각에서 하각 라인)
기능: 견갑골(어깨뼈)을 앞으로 당기고 상방회전, 흉벽에 고정
신경지배: 장흉신경(C5-C7)
'일일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해부학-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2) | 2023.03.13 |
---|---|
해부학적 자세 (Anatomical position) (0) | 2023.02.27 |
1일 해부학-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2.10 |
근육의 이는 점(기시점) & 닿는 점(정지점)/Origin & Insertion이 중요한 이유와 명칭의 유형 (0) | 2023.01.29 |
1일 해부학-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