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적 자세란 아래 그림처럼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손바닥이 앞쪽을 바라보게 한 자세를 해부학적 자세라고한다. 해부학에서 기준이 되는 자세이며, 국제적으로 통일된 자세이다.
특이한 점은 손바닥이 앞쪽을 보는 자세로 평상시 자세와는 조금 다를 수 있는데 이는 , 요골과 척골이 교차하게 되지않게 하기위해 손바닥을 앞쪽으로 보게 하고 기준을 정한 것이다.
이 자세를 기준으로 인체의 위치를 설명하기때문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관상면 시상면 수평면
첫번째 그림은 관상면을 설명한 그림으로 해부학적 자세에서 몸을 앞뒤로 나누는 면을 '관상면'이라고 한다. 관상면에서의 움직임은 외전, 내전 동작을 들 수 있다.
두번째그림은 시상면을 설명한 그림이고, 해부학적 자세에서 몸을 좌, 우로 나누는 면을 말한다. 시상면에서의 움직임은 굴곡, 신전을 들 수있다.
세번째 그림은 수평면을 설명한 그림이과 몸을 위,아래로 나눈면이다. 수평면에서의 움직임은 회전 운동을 들 수 있다.
앞쪽(Anterior)
앞쪽 신체 부위를 의미→ 가슴은 등의 앞쪽에 있다.
뒤쪽(Posterior)
뒤쪽을 향한 신체 부위→등은 가슴의 뒤쪽에 있다.
위쪽(Superior)
위쪽에 위치한 신체의 다른부위, 또는 머리쪽 →얼굴은 몸통보다 위쪽에 있다.
아래쪽(Inferior)
다른부분의 아래쪽, 혹은 발쪽→다리는 몸통보다 아래쪽에 있다.
중앙(Medial)
다른 부위보다 신체의 가상 평면에 가까운 신체부위→배꼽은 몸통 중앙에 있다.
측면(Lateral)
중앙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신체 부위 →귀는 코의 측면에 있다.
기부/근위(Proximal)
부착점과 가깝거나 몸통과 가까운 신체부위→팔꿈치는 손의 기부이다.
말단/원위(Distal)
부착점보다 더 멀거나 몸통에서 더 먼 신체부위→손의 팔꿈치의 말단이다.
겉면(Superficial)
표면에 위치한 신체 부위→ 피부는 벼의 겉면이다.
내부(Deep)
표면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한 신체 부위→장은 피부쪽의 내부에 있다.
'일일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해부학- 상완삼두근(윗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3.13 |
---|---|
1일 해부학-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2) | 2023.03.13 |
1일 해부학-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2.13 |
1일 해부학-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2.10 |
근육의 이는 점(기시점) & 닿는 점(정지점)/Origin & Insertion이 중요한 이유와 명칭의 유형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