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일해부학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by 감썽 2025. 4. 10.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오늘은 우리가 걷고, 달리고, 계단을 오를 때 발을 들어올리는 데 꼭 필요한 근육인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리 앞쪽에 위치한 앞정강근은 발등을 굽히고, 발을 안쪽으로 돌리은 움직임에 관여하며, 일상적인 보행부터 스포츠 활동까지 하체의 움직임의 안정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앞정강근은 우리가 걷고 뛸 때 발을 들어 올리는 '첫 움직움'을 담당하는 핵심근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근육에 문제가 생기면 발을 제대로 들어 올리지 못하게 되어, 보행에 큰 영향을 미치고

발처짐( Food drop)이나 스텝페이지 보행(Steppage gait) 또는 휘돌림 보행(Circumduction gait)같은 보행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기시점 정강뼈의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가쪽면의 몸쪽(proximal)부분, 골간막
정지점 첫 번째 발허리뼈(base of metatarsal 1) 안쪽 쐐기뼈(medial cuneiform)
기능 발의 발등굽힘(dorsiflexion)과 안쪽번짐(inversion)
신경지배 깊은 종아리신경(deep fibular or peroneal nerve) L4~S1

 

기시점 및 정지점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의 기시 정지점

앞정강근의 기시점은 

정강뼈의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와 가쪽면의 몸쪽(proximal) 부분

앞쪽의 골간막에 걸친 아래로 길게 넓은 부위에서 시작하여 발목관절 안쪽으로 들어갑니다.

 

정지점은,

첫 번째 발허리뼈(base of metatarsal 1)와 안쪽 쐐기뼈(medial cuneiform)부착됩니다.

 

 

기능

발목을 위로 당기면서, 동시에 안쪽으로 돌려준다.

0

 

발의 안쪽번짐(inversion)

근육이 수축되면 기시점으로 수축(움직이게)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수있다.

그러면, 안쪽으로 비스듬이 당기는 모양을 볼수있다.

 

0

발의 배측굴곡(dorsiflexion)

발등을 내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다. 

 

앞정강근의 신경지배

앞정강근의 신경지배

앞정강근은 깊은 종아리신경(deep fib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L4~S1)

※신경지배
근육이 움직이려면 전기신호가 필요하다.

이 전기신호를 보내주는것이 신경이라고 보면되고, 어떤신경에서 신호를 받는지가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