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무릎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금근(슬와근/ Popliteu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금근은 무릎 뒤쪽에 위치하는 작은 근육으로, 무릎을 구부리거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주된 기능으로는 무릎의 언락킹으로, 대퇴골과 경골이 잠긴 상태에서 경골을 외회전시켜 무릎을 풀어줍니다. 또한 무릎의
안정성 유지와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무릎을 완전히 펴는 동작을 할 때 무릎 뼈들이 조금 비틀리면서 돌아갑니다. 마치 문을 잠그듯이 회전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무릎을 펴고 서 있을때 안정감 있게 있을수 있습니다.
오금근은 이러한 무릎을 펴는 동작에서 구부리려고 할때, 처음에 잠긴부분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시점 | 대퇴골의 외측 골두의 외측 표면 |
정지점 | 경골의 근위부 뒤쪽 표면의 가자미선 |
기능 | 무릎에서 관절에서 하퇴를 내회전 무릎에서 하퇴를 굽히는 역할을 하며, 특히 무릎을 완전히 펴는 상태에서 굽힐 때 무릎을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신경지배 | 경골 신경(Tibial nerve) (L04-S01) |
기시점 및 정지점
오금근의 기시점 및 정지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금근의 기시점은,
대퇴골의 외측상과(lateral condyle of the femur)슬와인대(popliteal ligament)에서 시작되고,
정지점은 아래쪽 안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며, 경골(정강뼈)의 뒷면 가자미선 위쪽 부분에 정지합니다.
기능
오금근은 무릎에서 관절에서 하퇴를 내회전시킨다.
쉽게말하면, 무릎을 구부렸을때 하퇴를 안쪽으로 돌리게 돕는 역할을 한다.
특히 무릎을 완전히 펴는 상태에서 굽힐 때 무릎을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금근의 신경지배
오금근의 신경지배는 슬와신경(tibial nerve)에서 비롯됩니다.
이 신경은 L4부터 S1까지의 허리와 엉덩이 부위의 신경에서 나옵니다.
슬와신경은 오금근을 포함한 여러 근육에 신경을 전달하여 하퇴를 굽히거나 내회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슬와신경은 오금근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이 근육이 제대로 움직이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슬와신경이 손상되면 오금근의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일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종아리근(장비골근/ fibularis longus) (0) | 2025.05.14 |
---|---|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0) | 2025.04.10 |
반힘줄근(Semitendinosus) (0) | 2025.03.20 |
넙다리 두갈래근(Biceps femoris) (0) | 2025.03.13 |
1일 해부학-넙치근(가자미근,Soleus )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