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점: 견갑골: 오훼돌기
정지점: 상완골 내측 표면의 1/3 지점
기능: 상완골을 굴곡하고, 내전
신경지배: 요골신경(C5~C7)
오훼완근은 어깨뼈(견갑골)의 오훼돌기(까마귀 부리모양)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내측부분에 정지하는 근육입니다.
상완골을 굴곡시키고, 안쪽으로 내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상완이두근과 상완근과 같이 근피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특히 근피신경은 오훼완근을 뚫고 지나갑니다.
오훼완근 밑으로는 근피신경 및 혈관, 임파선들이 지나고 있습니다. 만약 근육이 단축된다면 근피신경이 압박되어 팔저림이나 어깨 위쪽이 통증이 생길 수 있고, 상지의 부종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삼각근이나 이두근과 같은 어깨의 굴곡근육이 제한된다면 보상적으로 과활성되어 기능적, 신경학적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오훼완근이 단축된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소흉근길이 검사를 하면서 같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소흉근과 상완이두근의 단두 그리고 오훼완근은 모두 오훼돌기에 붙어있어 이근육들이 단축되었을때 어깨를 앞쪽으로 말리게하는 작용을 합니다.
먼저 소흉근 길이검사하는 법을 알려드리면
1. 편안하게 침대나 바닥에 누워서 해부학적자세를 취해줍니다.(손바닥이 앞을보게/ 누웠을때는 손바닥이 위쪽으로/ 가슴근육군들을 이완시켜서 길이검사에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게위해 )
2. 그리고 바닥에서부터 견봉의 높이를 재서 길이가 긴쪽이 단축된곳입니다.(보통 2.5cm기준으로 초과되면)
3. 하지만 이게 소흉근, 단두, 오훼완근중에 어느것이 짧아졌는지 알아보려면 근육의 길이를 줄여서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을 해서 그 근육이 원인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상완이두근의 단두는 오훼돌기에서 기시하여 요골쪽에 붙습니다. 팔을 구부렸는데 어깨가 아래로 내려간다면(오훼완근을 느슨하게 해줬는데 자세가 좋아졌다)그건 오훼완근이 계속 잡아당기고 있어서 짧아진거구나! 그걸 느슨하게 풀어주니(팔을구부림) 어깨가 내려갔네?, 원인이 이근육이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하지만, 구부렸는데도 그대로있으면, 오훼완근이 짧아졌나? 생각해서 오훼완근이 상완골에 붙기때문에 상완골을 위쪽으로 올려줘서 어깨가 그대로 있으면 소흉근이 짧아진것이고, 어깨가 내려간다면 오훼완근이 단축되어 위로 올라가(어깨가 말려)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일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해부학-비복근(장딴지근,Gastrocnemiu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7.21 |
---|---|
1일 해부학- 대퇴근막장근(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e Latae)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7.12 |
1일 해부학- 견갑거근(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e)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5.10 |
1일 해부학- 상완이두근(윗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4.14 |
1일 해부학- 중둔근(중간볼기근, Gluteus mediu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