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근육의 이는 점(기시점) & 닿는 점(정지점)/Origin & Insertion이 중요한 이유와 명칭의 유형 인체의 골격근은 뼈에 붙어있어 몸을 움직이는데 관여한다. 골격근이 시작되는 곳을 이는 점(origin/기시점)이라 하고 끝나는 점을 닿은 점(insertion/정지점)이라고 하는데, 이 시작점과 정지점이 중요한 이유와 어떻게 명칭을 붙이는지 예를 들어서 알아보자. ​ 1. 이는 점(origin/ 기시점) 골격근이 부착되어 시작되는 부분을 말하며, 보통 몸 가까이에 위치한 부분을 지칭한다. 상대적으로 근육이 몸통에 가깝게 있고, 안정적이면 기시점이 되고, 수축이 일어났을 때 고정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상완근의 기시점이 몸통 쪽에 더 가까운 부분이 된다.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의 시작점과 정지점 2. 닿는 점(insertion/ 정지점) 골격은 이 부착되어 끝나는 지점을 말하며, 몸통보다 먼 .. 2023. 1. 29.
1일 해부학-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이는점(기시점/ origin)과 닿는점(정지점/ insertion)을 알아보고,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이 작용하여 골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와 지배하는 신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시점: 견갑하와 정지점: 상완골의 소결절 기능: 팔의 내회전, 내전, 상완골두 고정보조(상완골의 전방 전위 예방) 신경지배: 상부견갑하신경 및 하부견갑하신경(C5-C7) 위 그림에서 보듯이 견갑하근(어깨밑근/ subscapularis)의 이는점(기시점/ origin)은 견갑골 내부 안쪽의 움푹 들어간곳에 세로로 분포되어 삼각형모양을 그리면서 상완골두 부분의 움푹 들어간 곳의 소결절 부분에 닿아(정지점/ insertion)있다. 이 근육이 수축하여 움직임을 .. 2023. 1. 18.
연말정산의 기본개념 연말정산은 직장을 다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본 단어일것입니다. 하지만 매번 들어도 혼동되기만 하는 연말정산을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설명하겠습니다. 연말정산은 1년에 2번 2월과 5월에 진행하게 됩니다. 2월에 하는 연말정산은 회사에 속해서 근로소득을 받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말정산입니다. 5월에 하는 연말정산은 건물주, 자영업자, 프리랜서등 회사에 속하지 않은사람을 대상으로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 오늘은 우선 2월에 하는 연말정산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회사를 다니면 월급에서 일정 부분의 세금을 제외하고 받게 됩니다. 보통 세전, 세후 금액이 얼마냐고 물어보는 것도 이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왜 회사에서 세금을 미리 제외하고 급여를 줄까요? 쉽게 생각해보면 개개인이 .. 2023.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