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 Humeral Anterior Glide Syndrome)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쪽 관절중에서 상완골과 어깨뼈가 만나는 견갑와상완관절(GH joint)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중에 상완골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이라고 합니다. 더 자세히 말하면, 어깨를 움직일때 GH jiont 에서 구르는 동작(Rolling)과, 미끄러지는 동작(Glide)이 잘 되지 않아서 어깨 전면에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몸은 정상적으로 움직이면 관절이 아프지 않지만,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관절을 움직일때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발생한다면 원인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오늘 포스팅의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도 상완골이 전방으로 활주하여 문제가 되는 현상입니다. Gh joint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은 아주 다양합니다. 우리가 흔이 어깨.. 2023. 4. 19.
1일 해부학- 상완이두근(윗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팔근육에서 알통이라고 말하는 상완이두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상완이두근은 두개의 근육으로 되어 있고, 긴 근육인 장두와, 짧은 근육이 단두로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장두는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위팔뼈의 관절오목위결절에서 기시하고, 단두는 어깨뼈의 오훼돌기 끝부분에 기시하여 요골의 거친면에 정지합니다.(기시점은 2곳이고 정지점은 1곳) 팔굽관절을 구부리는 근육이고, 어깨관절의 굽힘을 합니다. 노자관절에서 아래 팔을 뒤침하며, 그밖의 세세한 움직임에 관여 합니다. 쉽게 설명해서, 우리가 밥을 먹을때 숟가락을 집고 올리는 과정을 상상해보면 됩니다. 이런 동작에서 상완이두근이 활성화 됩니다. 근피신경 및 근육피부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기시점: Long head(장두)/ 견갑골의 .. 2023. 4. 14.
운동과 보충제 우리는 운동을 할 때 음식을 통해서 에너지를 합성하는데, 이는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평소 우리가 많이 섭취하는 보충제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많이 접하는 단백질 보충제에 대해 알아보면, 단백질보충제를 이야기할 때에는 유청단백질을 이야기 하는데, 유청단백질은 우유을 가공하는 가정에서 나오는 단백질이며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WPC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기본단백질 WPI -WPC를 한번가공해서 만든 단백질 WPH -WPC 가수분해해서 만든 단백질 단백질의 함량은 WPH> WPI > WPC 순으로 많고, 순수 단백질 함량이 높은 제품이 가격도 더 비쌉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가 되어 흡수되는데, 우리가 많이 섭취하는 EAA와 BCAA에 .. 2023. 3. 30.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란? 견갑상완리듬이란 팔을 180도 외전시킬때 견갑대를 구성하는 견갑골, 상완골, 쇄골의 뼈들이 각자의 움직임으로 리드미컬하게 움직여 팔을 외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팔을 들어 올릴때 적절하게 근육과 뼈들이 움직여서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은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흉쇄관절, 견쇄관절, 견흉관절, 관절와상완관절) 4개의 관절이 있다. 이 관절들이 손을 위로 외전시킬때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흉쇄관절(SC joint) 쇄골은 흉골과의 연결을 통해 역학적 지주 또는 버팀목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어 체간으로부터 비교적 일정거리에 있는 견갑골을 지탱해 줄 수 있다. 움직임:쇄골은 30도정도 올라가고, 35도정도 외회전(뒤로회전)한다./ 손을 쇄골에 촉진..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