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1일 해부학- 오훼완근(부리위팔근, Coracobrachialis)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기시점: 견갑골: 오훼돌기 정지점: 상완골 내측 표면의 1/3 지점 기능: 상완골을 굴곡하고, 내전 신경지배: 요골신경(C5~C7) 오훼완근은 어깨뼈(견갑골)의 오훼돌기(까마귀 부리모양)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내측부분에 정지하는 근육입니다. 상완골을 굴곡시키고, 안쪽으로 내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상완이두근과 상완근과 같이 근피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특히 근피신경은 오훼완근을 뚫고 지나갑니다. 오훼완근 밑으로는 근피신경 및 혈관, 임파선들이 지나고 있습니다. 만약 근육이 단축된다면 근피신경이 압박되어 팔저림이나 어깨 위쪽이 통증이 생길 수 있고, 상지의 부종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삼각근이나 이두근과 같은 어깨의 굴곡근육이 제한된다면 보상적으로 과활성되어 기능적, 신경학적 문제를 유발시킬 수 .. 2023. 6. 29.
다이어트시 밴딩과 로딩 방법 다이어트 시 밴딩과 로딩 다이어트나 프로필사진, 보디빌딩대회에서 밴딩과 로딩을 한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을 겁니다. 오늘은 이 밴딩과 로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밴딩은 몸에서 빼내는 행위 즉 섭취를 줄이는 행위로 이화작용 생각하면 되고, 로딩은 반대로 섭취하는 행위 몸에 축적하는 동화작용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굶는 것은 밴딩이라고 생각하고 먹는 것을 로딩이라고 이해 하시면 쉽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마라톤선수나 지구력을 요하는 운동선수들이 에너지원인 글리코겐을 몸에 더 많이 축적시키는 글리코겐 로딩방법을 이용해 보디빌딩에 적용한 것입니다. 이러한 글리코겐 로딩법은 간단히 글리코겐(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고, 고강도운동으로 체내의 글리코겐(탄수화물)을 소모시켜 몸에서 글리코.. 2023. 6. 1.
무릎내측 통증- 거위발건 염 거위발건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봉공근(넙다리빗근), 박근(두덩정강근), 반건양근(반힘줄근)3가지 근육이 붙어있는 지점이 거위발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거위발건이라고 하며, 이거위발건 안쪽에 거위다리주머리라는 점액낭이 있는데 이부분에 염증이 일어난 상태를 거위발건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거위발건염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1. 위3가지 근육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스포츠(무릎의 굴곡을 많이 사용)를 많이 하거나 2. 방향전환을 자주하는 스포츠, 축구, 농구의 피벗동작, 테니스등 3. 기타 직접적인 외상이나 과체중의 중년여성 (내측에 압력증가로 인한) 4. 타이트한 햄스트링등을 들수있다. 증상의 치료방법으로는 첫번째 염증이 심하거나 통증이 심할때는 휴식을 취해주고, 냉찜질을 해주어야합니다. (10분3회/하루에).. 2023. 5. 11.
1일 해부학- 견갑거근(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e)의 기시점과 정지점 및 기능과 신경지배 견갑거근(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e)은 경추의 횡돌기1~4에 기시하여, 견갑골의 상각부분에 정지합니다. 상승모근의 상부와, 능형근과 함께 어깨뼈를 올리는 움직임(올리면서 하방회전)에 관여합니다. 어깨뼈가 고정되어 있을때는 목이 같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굽힘 작용을 합니다. 견갑배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목이나 어깨 통증이 있다면, 견갑거근(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e)의 단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목을 돌릴때 아프거나 움직이지 않는다면 더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Stiff Neck(목의긴장)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는 근육입니다. 어깨가 올라가는 만성적인 습관이 있거나, 한쪽으로 고개를 꺾고있는 자세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기시점:C1~C4의 횡돌기 정지점..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