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 Humeral Anterior Glide Syndrome)

by 감썽 2023. 4. 19.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쪽 관절중에서 상완골과 어깨뼈가 만나는 견갑와상완관절(GH joint)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중에 상완골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이라고 합니다.

더 자세히 말하면, 어깨를 움직일때 GH jiont 에서  구르는 동작(Rolling)과, 미끄러지는 동작(Glide)이 잘 되지 않아서  어깨 전면에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몸은 정상적으로 움직이면 관절이 아프지 않지만,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관절을 움직일때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발생한다면 원인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오늘 포스팅의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근도 상완골이 전방으로 활주하여 문제가 되는 현상입니다. 

Gh joint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은 아주 다양합니다. 우리가 흔이 어깨를 돌릴때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으며, 범위도 큽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전에 먼저 상완골두와 견갑와에서는 구르는 동작(Rolling)과, 미끄러지는 동작(Glide)이 먼저 선행되어 일어납니다. 

자동차 바퀴를 예로 들면 일반도로를 달리는 동작을 Rolling이라고 하고, 얼음위에서 바퀴가 헛바퀴도는 현상을 Glide라고 이해하시면 좀 더 쉽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우리가 팔을 내회전 시킬때  내회전근육인 광배근, 대흉근, 견갑하근, 대원근의 작용으로 상완골을 내회전 시키면서 상완골두가 앞쪽으로 구르는 동작이 나오고, 후방 관절낭이 늘어나면서 공간을 확보하여 반대방향으로는 미끄러집니다.

 

 

 

하지만 후방 관절낭(움직임이 나타나는 가동관절을 감싸주는 구조물) 의 뻣뻣함과 외회전 근육근(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소원근, 후면삼각근)의 타이트함이 강하거나, 

내회전근육군 중에서 상완골두를 앞으로 미끄러지 않게 잡아주는 견갑하근의 약화와 대흉근, 광배근등 골두를 앞으로 당기는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상완골두가 앞으로 미끄러진 상태에서 어깨가 움직여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시말하면

 

1. 후방관절낭의 뻣뻣함으로 인한 후방으로 미끄러짐의 움직임이 나오질 않음.

    -흉추의 후만으로 견갑골의 위치가 변화되며, 상완골두를 앞으로 잡아당기는 근육(대흉근, 광배근)의 단축유발

   -편평등으로 흉추의 굴곡이 나오지 않아 익상견이 되기 쉽고 그로인해 전거근 및 하부승모근의 약화

    어깨뼈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는 후방관절낭이 보상작용으로 더 안정서있게 뻣뻣해지는 역할을 함.

2. 견갑하근의 약화(상완골두를 앞으로 나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 및 내회전)

3. 강력한 내회전 및 앞으로 잡아당기는 근육군들의 긴장 (대흉근, 광배근)

   이러한 원인으로  상완골이 전방으로 활주되어 어깨에 통증을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군을 확인하는 방법은

 1. 상완골두가 1/3 어깨뼈의 견봉보다 전방에 위치하거나

 2. 옆에서 봤을때 상완골두 부분이 상완골의 원위부(팔꿈치쪽) 보다 앞쪽에 위치

 3. 견갑골의 전방경사가 동반되는 경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통은 어깨를 내리면서 펴는 신전동작시에 어깨앞이 말리는 특징을 보이며, 어깨의 굴곡동작에서는 내회전 동작에 제한을 가져올수 있다. 

 

운동방법으로는 우선 후방관절낭 및 외회전 근육들을 충분히 스트레칭해주고 마사지볼 및 , 슬리퍼스트레칭(누워서)을 해주고, 내회전근육의 견갑하근의 강화운동과, 전방으로 상완골두를 잡아당기는 대흉근 및 광배근을 스트레칭 해주면 개선 될 것이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MI ( Fat-Free Mass Index)와 BMI(Body Mass Index) 비교  (0) 2024.07.27
다이어트시 밴딩과 로딩 방법  (1) 2023.06.01
운동과 보충제  (0) 2023.03.30
치팅 데이란?  (1) 2023.03.27

댓글